중국 2

[염승환 1부] 2023년 경제 전망은?

https://youtu.be/VX7luP135HU Q. 요즘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주식 시장에 대해서 고민하고 계실 여러분들께 답을 드려볼까 합니다. '경기침체로 정말 최악의 한 해가 될 거다.' 이런 이야기로 시작했던 2023년이 잖아요. 현재 경제 상황 어떻게 흘러갈까요? A. 경제는 지금 현재를 반영하니깐 그것만 말씀드리는겠습니다. 좋지는 않습니다. 당연히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최근 소비도 안 좋고 각종 고금리 환경이 이어지다 보니까 이제 가계 소비 여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기업도 투자가 위축되고 어려운데, 우리만 그런 게 아니라 미국도 굉장한 2년 동안 굉장한 소비를 기록했거든요. 팬데믹 이후로 점점 고금리, 고물가가 이어지다 보니까 '미국도 결국은 경기 침체로 가지 않을까' 이런..

김광석 실장 4편. 일본, 중국은 왜 미국, 유럽과 반대로 가고 있는가?

출처 : 머니인사이드 유튜브, 김광석 실장편 이 와중에 중국은 금리를 인하하고 있죠. 이 와중에 일본은 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. 일본의 기준금리가 마이너스예요. 제로에 가까운 마이너스예요. 그 마이너스 금리를 동결하고 있어요. 일본의 경우에는 만성 디플레이션 국가였어요. 잃어버린 30년, 그 잃어버린 30년이 왜 왔냐면 저물가의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거예요. 저물가의 소용돌이 물가가 떨어질 때 어떨까요? 앞으로 가격이 더 떨어질 거야. 소비하고 싶지 않아. 더 떨어지고 사고 싶어요. 그러면 물가가 떨어질 거라고 전망하면 소비를 지금 줄이니까 또 떨어지는 거예요. 또 떨어질 거라고 생각하니까 또 안 사는 거예요. 또 소비도 둔화될 것 같으니까 기업들은 투자하고 싶지 않아요. 이게 저물가의 소용돌이..